이 게시글은 공부하면서 정리한 내용입니다.
잘못된 정보는 제보해주시면 매우 감사드리겠습니다.
***
AOS와 IOS 밀도
안드로이드 기반 디바이스는 고도로 발전하여 현재 점유율이 가장 높고 디스플레이 밀도도 매우 다양하다.
그래서 안드로이드 OS(AOS)에선 DPI를 6단계로 나누고 DP라는 논리적 픽셀을 공통의 측정 단위로 정했다.
기준 밀도(mdpi)인 160 dpi가 초기 시장에서는 가장 보편적이었으나, 이제는 초고밀도(xhdpi)인 320 dpi가 가장 보편적이다.
*안드로이드 배포 대시보드: developer.android.com/about/dashboards?hl=ko
*안드로이드 밀도 지원: developer.android.com/training/multiscreen/screendensities
한편 아이폰 OS(IOS)에서는 밀도를 3단계로 나누고 PT라는 논리적 픽셀을 공통의 측정 단위로 정했다.
아이폰 밀도 단계
mdpi: 1@x *base(기준 밀도)이며 1pt가 1px이다.
xhdpi: 2@x *1pt=2px
xxhdpi: 3@x *1pt=3px
안드로이드, 아이폰 OS의 밀도 단계에 대해 알아보았다.
디바이스 밀도에 따라 어떻게 디자인해야 하는지 알고 싶다면 다음의 포스팅을 참고하자.
'디자이너가 알아야 할 것들 > UI·UX Design'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타이포그래피(Typography) - 베이스라인(baseline)의 차이가 디자인의 차이로 (0) | 2021.01.03 |
---|---|
UI·UX 디자이너를 위한 가이드 - 디바이스와 밀도 (깨지는 이미지) (2) | 2020.12.21 |
UI·UX 디자이너를 위한 가이드 - DP·SP와 디스플레이 (0) | 2020.12.21 |
UI·UX 디자이너를 위한 가이드 - 해상도와 PPI·DPI (0) | 2020.12.21 |
UI·UX 디자이너를 위한 가이드 - 래스터화(Rasterization) (0) | 2020.12.21 |